티스토리 뷰


가끔 예전 주소는 기억나는데, 바뀐 도로명 주소가 헷갈릴 때가 있습니다. 특히 우편물을 보내거나 서류를 작성해야 할 때면 난감한 상황이 생기기도 하는데요. 예전 주소 체계에 익숙해져 있어 새로운 주소 체계가 아직은 어색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생각보다 아주 간단하게 예전 주소로 새로운 주소를 알아낼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지금부터 구주소로 신주소를 찾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구주소로 신주소검색

 

이것은 기존에 사용하던 지번 주소를 현재의 도로명 주소로 바꾸어 확인하는 과정이에요. 과거의 행정구역과 번지수로 이루어진 주소를 도로의 이름과 건물 번호를 기준으로 하는 새로운 체계의 주소로 손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구주소로 신주소검색은 도로명주소 안내시스템 홈페이지에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도로명주소 안내시스템 - https://www.juso.go.kr/]

 

1. 홈페이지 중앙에 위치한 통합 검색창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곳에 찾고 싶은 지번 주소, 즉 예전 주소를 기입하고 검색을 실행하면 됩니다. 동 이름과 번지수를 함께 넣으면 더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2. 검색을 마치면 입력한 주소에 해당하는 결과 목록이 나타납니다. 여러 개의 주소가 나올 경우, 찾고자 하는 주소의 오른쪽에 있는 '더보기'를 통해 상세한 내용을 확인할 준비를 합니다. 이를 통해 기본적인 도로명 주소와 지번 주소를 간략하게 비교해볼 수 있습니다.

 

 

3. '더보기'를 누르면 숨겨져 있던 상세 정보가 펼쳐집니다. 여기서는 영문 주소, 관할 주민센터, 건물의 이름, 그리고 주소가 어떻게 변해왔는지에 대한 이력까지 한눈에 파악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합니다. 모든 정보를 확인한 후에는 '접기'를 눌러 화면을 정리할 수 있습니다.

 

 

4. 주소뿐만 아니라 해당 주소가 속한 도로 자체에 대한 정보도 알아볼 수 있습니다. 도로의 시작 지점과 끝 지점, 도로명이 언제부터 사용되었는지, 총 길이는 얼마인지, 그리고 왜 그런 이름이 붙여졌는지에 대한 배경까지 상세히 설명되어 있어 흥미롭습니다.

 

 

5. 검색한 주소의 정확한 위치를 지도를 통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도 위에는 해당 건물의 위치가 표시되며, 도로명 주소와 지번 주소, 그리고 우편번호까지 함께 나타나 있어 필요한 모든 주소 정보를 한 번에 얻을 수 있습니다.

 

 

6. 더 넓은 시야에서 주소의 위치를 파악하고 싶다면, 전체 도로 구간을 보여주는 지도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해당 도로가 어느 지역을 가로지르는지, 주변의 주요 도로나 지형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 등 전체적인 맥락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처럼 도로명주소 안내시스템을 이용하면 누구든지 쉽고 빠르게 구주소를 신주소로 변환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는 주소가 헷갈릴 때에도 당황하지 않고, 간편하게 원하는 주소 정보를 찾아 다양한 상황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