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가끔은 알쏭달쏭한 서류 속 질병 기호 때문에 고개를 갸웃거릴 때가 있습니다. 익숙하지 않은 코드들이 나열되어 있어 어떤 내용인지 파악하기 쉽지 않기 때문인데요. 복잡해 보이는 이 기호들을 누구나 손쉽게 확인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지금부터 그 방법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질병분류기호 검색
의료 기록이나 관련 통계 자료에서 질병을 성질의 유사성에 따라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을 말합니다. 이렇게 정리된 내용은 표준화된 기준이 되어 일관성 있고 비교 가능한 자료를 확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질병분류기호 검색은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홈페이지에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 https://www.kcdcode.kr/]
1. 홈페이지 중앙에 보이는 여러 항목 중에서 주황색의 '전체분류'라고 적힌 부분을 통해 원하는 정보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이곳에서는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CD)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확인할 수 있어 처음 방문한 사람도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2. '전체분류'로 들어가면 화면 좌측에 감염성 질환부터 건강 상태에 영향을 주는 요인까지 총 22개의 대분류 목록이 나타납니다. 여기서 직접 찾아보거나 상단의 검색창에 질병명 또는 코드를 기입하여 더 빠르게 조회할 수 있습니다.
3. 상단 검색창에 'N17'과 같은 특정 코드를 입력하면, 입력 내용과 관련된 추천 검색어 목록이 아래로 나타납니다. '급성 신부전'처럼 코드에 해당하는 질병명과 세부적인 분류까지 미리 볼 수 있어 전체 단어를 입력하지 않아도 간편하게 찾을 수 있습니다.
4. 검색을 마치면 입력한 코드 'N17'에 해당하는 질병명인 '급성 신부전'이 명확하게 표시됩니다. 이를 통해 코드만으로는 알기 어려웠던 정확한 명칭을 확인할 수 있으며, 다른 불필요한 정보 없이 핵심 내용을 바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5. 나타난 결과를 선택하면 더욱 상세한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N17 급성 신부전'이 '비뇨생식계통의 질환'이라는 더 큰 범주에 속해 있음을 알 수 있고, 세뇨관 괴사, 피질 괴사 등과 관련된 세부 분류 항목까지 한눈에 살펴볼 수 있습니다.
6. 질병명이나 코드를 모를 경우에는 다른 방식으로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검색창 옆에 있는 '전체보기', '신체부위', '색인' 중에서 '신체부위'를 선택하면 신체 그림을 통해 시각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7. '신체부위'를 선택하면 목, 가슴, 전신 등 신체를 구분해 놓은 그림이 나타납니다. 여기서 궁금한 부위를 정하면 해당 부위와 관련된 질병 분류 목록으로 바로 연결되어, 코드나 명칭을 몰라도 정보를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이제는 낯선 질병 기호를 마주하더라도 당황할 필요가 없습니다. 알려드린 방법을 활용하면 언제 어디서든 필요한 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복잡하게만 느껴졌던 기호의 의미를 파악하며 건강 정보를 더욱 주체적으로 관리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랍니다.